1. 해와 달이 고유명사가 되지 못하는 이유와 '왜 붉고 아름다운 것을 '꽃'이라 할까?의문과 관련있는 언어의 특성은?
이라는 문제에서답이 '언어의 자의성'이라고 되어있었습니다.
왜 이 예시들이 자의성을 설명하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붉고 아름다운 것을 '꽃'이라 하는 것은 언어의 사회성이 아닐까요?
---------..
1. 해와 달이 고유명사가 되지 못하는 이유와
'왜 붉고 아름다운 것을 '꽃'이라 할까?의문과 관련있는 언어의 특성은?
이라는 문제에서
답이 '언어의 자의성'이라고 되어있었습니다.
왜 이 예시들이 자의성을 설명하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붉고 아름다운 것을 '꽃'이라 하는 것은 언어의 사회성이 아닐까요?..
1. 안되다의 띄어쓰기
띄어쓰고 붙여쓰는 것에 따른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고 싶습니다.
2.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합성어의 구별을 알고 싶습니다.
예 ) 부슬비는 부슬부슬내리는 비 / 늦잠은 늦은 잠 이렇게 하면 통사적 합성어 같은데
비통사적합성어인 이유는 무엇..
강의에서
직장 내 언어예절에서 주체는 높이는 걸로 개정되었다고 하셨는데
책에는
(직장 내) 사장님, 김 과장 왔습니다. (부장이)
라고 되어있더라고요. 이것을 주체높임법을 사용하게 되면 사장님, 김 과장님 오셨습니다.라고 해야하지 않나요?ㅠ.ㅠ
그렇다면
김철수 씨, 김 과장 왔습니까? / 김철수 씨, ..
한겨레 고시학원에서 문법 701 들은 학생입니다.
2일 수업시간에 문장부호에 대해 질문을 드렸는데요, 아무리 찾아도 문장부호에 대한 강의를 찾을 수가 없어서 문의를 드리게 됐습니다.
강의는 어디서 들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 그때 그렇게 중요하지 않아서 강의를 들을 필요는 없다고 하셨는데 그냥 책..
합성어와 파생어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조사도 자립성이 강하기 때문에 단어인데'정말로' 같은 경우는 "정말+로"로 '체언+조사'이지만예외사항으로 파생어라고 하는 것인가요?그리고 '기차'가 왜 파생어가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잔디가 밟아져서 못쓰게 되었다.'는 잘못된 피동표현이 사용된 것이..
1. 보조사 구분에서밥은커녕 죽도 못 먹고 산다. 라는 문장에서 '은커녕' 자체가 보조사라고 하셨는데밥(체언)+은(조사) 이라서 뒤에 '커녕'이 보조사가 되고'은'은 생략이 가능해서 보조사가 되는건가요? '은'을 생략한다면 '밥커녕 죽도 못 먹고~'라는 문장이 되는데
이것이 말이 되는 문장으로 볼 수 있나요?그리고&n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