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김진원교수님의 열정과 강의내용을 알려드려야 하는데, 새로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업무를 익히는라 이제서야 글을 씁니다. 사회복지공무원 과목중 사회복지학 점수가 가장 최저점을 기록하면서도 서울시 사회복지직에 합격하였습니다. 어찌보면,부끄러웠지만 교수님의 1급 강의를 들으면서 다시한번 사회복지학에 대한..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합격수기|등록일 : 2013.12.16|조회수 : 284
1. 1급 내용추가 보충자료를 다 인쇄를 했는데용32페이지까지 있잖아용 과정목표와 결과목표까지 있는데용나머지 뒤에 있는 부분 들은 책만 보아도 부족함이 없는건가요???교수님 7월 이론강의를 듣고 있는데요1급에서 나왔던 부분들도 같이 보구 하시잖아요보충적으로 교수님이 적어주시기두 하시구요그런데 1급에서만 나..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3.10.05|조회수 : 749
질문주셔서 감사드립니다.공무원기출문제분석집은 출판사 사정으로 2013년 문제를 포함해서는 재출간되지 못하여 죄송한 마음입니다.다만, 정오표와 추록 내용으로 따로 정리하여 홈페이지에 첨부해 놓도록 하겠습니다.1급 기출문제분석집은 별도로 출간되었습니다.2003년 제1회 시험부터 올해 시험이었던&n..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3.09.28|조회수 : 127
교수니임 지역사회복지에대해 질문을 드립니당지역사회복지의 개념에서 협의의 개념을 보면 재가복지를 포함하여 비수용시설에서 클라이언트에게 각종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는데ㅜㅜㅜㅜ 이 문장 확실히 잘 이해가 안가요 교수님 ㅜㅜ그리구 생활시설 vs 이용시설의 내용도 ㅜㅜ 도와주세용 ㅜㅜ!!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3.08.03|조회수 : 618
개별사회사업에서 처음엔 집단.지역사회를 사회복지사로 인정안해주다가 나중에 했다고 하셨는데, 협회에 참여시켰던 이유가 이 사람들이 전문가가 아니라서 그랬다고 하셨는데요, 치료모델에서 집단사회사업이 전문사회복지실천에 통합될 수 있게 하였다. 라는 글에서,,,, 치료적인것에 전문가라는 것이 부각이 되어 보완..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3.07.30|조회수 : 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