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적 형평성에 기반 한것은 민간 보험이 아니고 사회보험이 아닌가요? 그리고 사회보험은 위험 확률에 기반한다는 말의 의미를 풀이 부탁합니다.4. 최소한의 보장을 위한 것은 사회보험이 아닌가요? 5. 인플레이션에 강하는 것은 사회보험이고 취약한 것은 민간보험 아닌가요?답변 부탁드립니다.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4.01.23|조회수 : 630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스핀햄랜드법은 구빈비용의 증가를 가져온 법입니다. 따라서 구빈지출비용을 축소함으로써~가 아니라해당문장은 구빈지출비용을 증가시킴으로써~로 바뀌어야 합니다. 개정구빈법이 제정된 목적은 길버트법과 스핀햄랜드법에 의해 증가되..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4.01.19|조회수 : 39
질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정오표 첨부해드립니다. 더불어 현재 기출문제분석특강은 작년과는 달리 상세히 문제를 풀고논점을 찾아서 핵심논점사항을 OX문장으로 다시 점검하는 작업을 거치고 있습니다. 수업을 들으시는 선생님들로부터 반응이 아주 좋아서 다음달 책으로 출간준비중에 있는데요..현..
[출처] 김진원 교수의 사회복지학 > Q&A|등록일 : 2014.01.19|조회수 : 40
아닙니다. 무조건 공식에 대입하시기 보다는 제가 평상시에 그림을 그려드리는 것 처럼 해보시면 신자산의 공정가치를 넣고 구자산의 공정가치를 역산합니다. 즉 7,000 = ? + 2,000 을 해보면 구자산의 공정가치가 5,000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한번 잘 생각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