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조음 연구개음 경구개음 같은 것들은 저같은 경우에는 발음을 해서 이게 어디에 혀가 닿아서 소리가 나는지 구별 하는 것이 힘들 것 같은데 치조음에 해당하는 자음은 뭐뭐다 이런식으로 외우고 있어야 하나요?
2.사이시옷 규칙에서 소리나는대로 적지만 어법에 맞게라고 하는데 실제로 소리나..
1.저는 형태소를 나눌때 뜻을 가진 최소 단위라는 것을 생각해서 엄마 오신다-> 오는 어간으로 실질적 의미 /시는 높임/ㄴ은 시제를/다는 상대가 나와 동급이하를 나타낸다는 식으로
형태소를 나누었는데 이노에듀 문법책에 [너와 나는 같은 편이다] 에서 이다를 이/다로 나눈걸 보고 이다를 어떤
기준으로 나눈건지 ..
안녕하세요수험생을 위해 항상 연구하고 노력하는 이노에듀 대표 배인호 입니다.학생이 정리한 생각이 맞습니다.추가로 기준을 잡기 위해 필요한 것은대교출판에서 나온 국어교육학 사전 / 임용대비 교재 등이 정확한데요.교과서 수준에서 학습하시고나머지 애매한 것은 출제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무시하시는게 좋습니다..
어제 늦잠이 비통사적 합성어인 이유에 대해 답변해주신거 감사합니다
정확하게 통사적과 비통사적의 구분방법 기준을 잡고 싶어서 그런데
한마디로 파생이 안된 순수한 기본형의 품사를 떠올려 늦은 동사니까 서술어 잠은 명사 니까 주어/목적어/보어 고로 서술어 주어/목적어/보어 순의 비통사 하는 식으로 ..
안녕하세요수험생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해 연구하고 노력하는 이노에듀 대표 배인호 선생님 입니다.우선 제가 명시하여 언급하지는 않았고,다만, 다음 차시 강의에서 언급할 내용인데, 문장 성분 / 품사를 따질때는 기본형을 우선 생각합니다.늦다 : 동사 / 형용사로 쓰이는 품사 입니다.동사 / 형용사는 서술어 문장..
저번 수업에 늦잠이 비통사적 합성어인 이유가 어순이 즉 문법이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셨는데그 이유가 주어(명사) 다음에 늦다같은 동사가 와야하는데 그렇지 않아서가 맞나요? 그런데 단순히 생각해서 늦게 잠으로써란 말도 말이 되는거 같아 어순이 맞는거 처럼 느껴져 왜 비통사적 합성어인지 모르겠습니다.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