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재무관리 185페이지의 각시점별 현금흐름의 추정이

새투자시 구투자보다 얼마나 더 버는지를 알아보는건가요? 증분개념으로?

공식에서 다 증분개념이 아닌데 영업활동 결과만 증분개념으로 보는 이유가 궁금해요

이 현금흐름이 구투자대비 새투자의 증분개념이라면 운전자본같은건 구투자에서도 사고 팔았었을텐데 그부분은 무시하는건가요?


2.회계 27페이지 18번문제에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등은 해당 자산이나 부태에서 직접 가감하여 표시할수 있다 정답이 O인데

이건 직접차감법 아닌가요 non-gaap으로 배웠는데..

아니면 충당금설정법의 직접차감형식인건가요?

직접차감법 / 충당금설정법의 직접 차감형식<- 말로 표현하면 어떻게 구분하나요?


3. 회계 58페이지 9번문제 보기2번에서 시장성 없는 유가증권에 대해 역사적 원가를 적용하면 검증가능성은 높으나 유가증권의 실제가치를 나타내지 못하여 표현의 충실성과 목적적합성은 저하된다. 라고 했는데

역사적원가를 적용하면 신뢰성이 높아지는데 표현의 충실성은 저하되나요? 표현의 충실성이 신뢰성의 하부속성인데 반대로 갈수가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