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계공부를 일년동안 해온 상태인데 그동안은 추상적으로 이해하고 있어 잘 암기되지 않던 부분이

선생님 교재를 통해 구체화되어 한결 이해하고 암기 하기가 쉬워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드릴 내용은

 

질문 1.

교재240p 교환거래에서 제공한 자산을 즉시 제거할 수 없더라도 취득한 자산은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교환거래에서 제공한 자산을 즉시 제거할 수 없더라도....이 말이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뒤의 부분은 결국 취득 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한다는 말인거 같은데 앞의 말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242p에서 구자산의 수익창출활동이 종료되지 않았으므로 처분손익을 인식하지 않는다...는 말도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상업적 실질이 없는 것과 수익창출활동이 종료되지 않은 것이 관계가 있는 건가요? 

 

질문 2.

 

260p 유형자산 항목의 일부에 대한 대체원가를 자산의 장부금액으로 인식하는 경우, ~

이부분이 이해가 안가는데요 일단 대체원가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이 부분이 무슨 상황인지 간단하게나마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3.

원가에서 질문드립니다.

제조간접비는 부문공통원가와 부문개별원가로 나눌 수 있고 부문개별원가는 보조부문원가와 제조부문원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예를들어 전기료가 부문개별원가라고 하면 전기료는 보조부문원가(예를 들어 식당에서 발생한 전기료의 원가)와

제조부문원가(제품 a를 만드는 부문에서 발생한 전기료)로 나눌 수 있을텐데요

질문할 내용은 이렇게 식당부문에서 발생한 전기료 원가라든지, 기타 개별원가에 의해 추적가능한 원가들이 합해져서

배분대상원가가 되는 건가요?(그러니깐 이렇게 식당부문에서 합해진 원가들이 단계배분법 등등의 방식으로 제조부문으로

나뉘어지는 건지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