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험생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해 연구하고 노력하는 이노에듀 대표 배인호 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수학 킬러문제 해결할 때 보통의 다른 문제에 비해 오랜 시간이 투입되고 그럼에도 맞는게 있고 틀리는 경우가 있는데 

 풀리지 않는 문제를 계속 풀려고 생각할 때 능력이 길러진다고 저는 배웠는데 선생님께서 한문제 가지고 10분 이상 붙들고있지 말라고 하시는게 어떤 이유입니까? 

수능 시험은 기본적인 내용만 알고 있으면 다 풀리기 때문에 만약 문제가 안풀린다면 그것은 기본적인 부분을 정확하게 활용할 줄 모르기 때문이므로 그 문제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능력을 익히는것이 더 이롭기 떄문입니까?

 킬러 문제를 통해 어떤 능력을 증진시키는것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물론 하나의 문제를 놓고 고민을 깊이하는 것은 당연히 학생들의 사고력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수능 수준은 그렇게 까지 깊이 있는 사고를 요구하지 않고

시험범위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출제원리인 출제매뉴얼 수준의 문제 출제만 합니다.


따라서 문제 접근법이 5~10분안에 떠오르지 않는다면 대부분은 시간을 더 쓰더라도 무의미할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차라리 빨리 해설을 보고 사고 과정을 정립해 연습하는 쪽이 더 효율적 학습이 됩니다. 


단, 일부 킬러 유형은 사고를 깊이하는데 도움될 수 있으니

킬러는 경우에 따라 3~5분 이상 10~30분까지도 2~3회 이상 경우에 따라서 4~5회도 보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급적 1~2 유형의 접근법의 수업을 듣고 틀을 잡은뒤 나머지 유형은 스스로 연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후에 5~10분씩 2~3회 적용하여 20~30분의 시간을 써도 접근이 안되면 해설을 듣고 연습을 하십시오.


언제든 질문주십시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