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종하 교수님^^


풀빛 회계학 2014년 1월 판 175페이지 재고자산 과대계상오류의 자동조정과

178페이지 매입원가 설명중 부가세환급 부분 질문이 있습니다.


1. 재고자산 과대계상 오류의 논리가 이런 식으로 전개되잖아요?

당기말재고의 과대계상-당기매출원가의 과소계상-당기순이익의 과소계상


당기말재고의 과대계상-차기초재고의 과대계상/여기까지는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차기초재고의 과대계상-차기매출원가의 과대계상으로 이어지는 흐름에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차기매출원가의 과대계상도 되지만, 차기말재고의 과대계상이라고 할수도 있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교수님께서 강의에서 설명하시면서 '차기말재고가 일정하다고 한다면~' 이라는 가정을 하셔서 차기 매출원가가 과대계상인 것을 밝히셨기 때문에, 책에 나온 구조가 이해는 됩니다. 하지만, '차기 매출원가가 일정하다고 한다면' 을 가정해서 차기 기말재고의 과대계상의 경우는 생각을 안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해봤는데, 기말재고는 보통 실사법으로 조사를 하니까 과대계상 될일이 없다는 반박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또 궁금한 입장의 저는 처음에 당기말재고의 과대계상으로 출발한다는 시작도 이상하다고 반박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하고자 하는 점을 최대한 이해하시기 쉽도록 쓰려고 노력해봤는데, 이해 되시나요?^^;;;




2. 178페이지 매입원가 설명중 부가세환급 부분


매입원가 부분인데요. 매입원가+부대비용이라고 하시고, 부대비용에 세금도 들어간다. 그런데 환급가능한 세금금액은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그 예로 부가세를 예로 드셨습니다. 과세사업자가 상품을 사면 부가세부분은 환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제가 상식이 부족한지, 왜 과세사업자는 부가세를 환급받고, 면세사업자는 부가세를 내야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무엇에 대한 과세이고 면세인지 모르겠기 때문에 이런 질문이 나온 것 같기도 합니다. ㅠ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예와 보기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