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100 7번문제 3번 보기처럼
'계실게요'라는 표현이 자신의 행동을 높이는 거라고 되어 있는데 어떻게 그리 되는 거에요??
-----------------------------------------------------------
'계실게'는 '있을게'의 높임말로 추정되는데...
보통 '있을게'의 앞에는 1인칭 주어가 옵니다.
따라서 자신을 높이는 이상한 표현이 된 것이죠.
2) 100p 10번문제 3번 보기에서요
직장 안에서 이니까 과장님과 부장님을 다 높여야 되니까
과장님, 부장님께서 오시랍니다.
2)-1 '오라 하십니다'는 안되는 거죠?
2)-2 그리고 '오시하고 하십니다'하고 '오라십니다'하고 어떻게 다른 거에요??
-----------------------------------------------
오시라고 하십니다.
오라십니다.
이렇게 두 가지로 알아두면 됩니다.
3) 압존법은 가정에서만 적용되는 거죠?
그런데 101p 11번문제 5번에
아버님, 할아버님께서 오라십니다
라는 표현은 조부모 앞에서 부모를 높일 수도 있는거니까
저렇게 낮춰서 써도 맞는거죠??
저 표현을 보건데 배우자의 부모, 조부모에 대한 상황이죠??
----------------------------------------------
역시...
오라십니다.
오시라고 하십니다.
두 가지로 쓸 수 있습니다.
4) 내일 봬요 라는 표현에서
봬요 = 뵙(다) + 어 + 요
'뵙다'는 객체 높임이고 '해요'는 상대 높임인데 이게 같이 쓰인건가요??
근데 이건 청자를 높이는 상황 아닌가요?
-----------------------------------------------
한 문장으로... 주체, 객체, 상대를 두루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