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체수는 핵상으로 생각하시면..됩니다.
감수1분열 전기때는 핵상이 2n, 감수2분열 전기때는 핵상이 n이 됩니다. 2n-n-n입니다. 따라서 감수1분열 전기때와 감수2분열 전기때 염색체수는 다릅니다. 1/2이 되는거죠..
2n=염색체수(염색분체)/
감수1분열 전기: 2n=46(92)
감수 2분열 전기:n=23(46)
딸세포: n=23(23)---1분열 때는 상동염색체가 분리되므로 염색체수가 반으로 줍니다. 2분열 때는 염색분체가 분리되므로 염색체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염색체수는 동원체수로 계산하십시요..
염색분체가 결국 dna양과 같다고 보시면 되겠네요..분열할 때마다 dna는 반씩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