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험생에게 가장 도움되는 선생님 배인호 입니다^^
53p 3번. What do have old ivy leaves, to do with your getting well?
이 문장에서, 어떻게 What do have 로 순서가 나왔는지 궁금하고, leaves를 문장성분을 어떤것으로 잡아야 하는지..궁금합니다.
,(commma)뒤에 to~는 to-v로 잡고, with(pre) your(a) getting(R-ing) well(ad)로 문장성분을 잡았습니다.
의문문의 어순이기 때문에
의문사 + V + S 형태 입니다.
leaves는 주어가 되겠습니다.
, 뒤에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예문은 다들 아시는 마지막 잎새이며,
'너가 낫는데, 저 오래된 덩쿨 잎이 무엇을 가지고 있다는거야?' 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54p 4번. Are we disposed to be of the number of the people who, having eyes, see not, having ears, hear not, the things with
so nearly concern our temporal salvation?
이 문장에서, to be(의미상v)---our temporal salvation(의미상 목적어)->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것이 맞는지요??
so nearly concern our temporal salvation을 어떻게 문장성분을 나누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who(의미상s) having eyes(접속사.주어생략분사구문) see not(의미상동사) having ears(접속사.주어생략분사구문)
hear not(의미상 동사) the things(의미상목적어) 까지 한단위로 묶이고, the things를 수식해주는 with가 맞나요?
위의 예문은
내게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 라는 말로 유명한
미국 독립운동가인 Patrick Henry의 말입니다.
우리는, 일시적인 구원을 위하여, 눈은 있으나 보지못하고, 귀는 있으나 듣지 못하는, 그런 사람들로 생각되고 있지 않나?
- 독립운동당시에, 잠시의 편안함을 위하여, 옳지 못한것에 저항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해 독려하는 내용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1700년대의 글이고, 문법적으로 완벽한 표현은 아니기 때문에, 나머지 예문 전체를 연습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고,
위의 분석정도 하시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