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느 수준까지 돼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예를들어 2015 한끝 문법 10강, 교재 45p 생기초확인문제 강의하실 때에 답지 1번부터 5번을 푸는 사고과정을 천천히 해설해주셨잖아요. 해설이 상세해서 좋았는데, 제가 문제풀 때는 선생님이 써주신 사고과정들처럼 그대로 완전히 사고하면서 답을 찾진 않거든요. 그러니까 선생님이 써준 사고과정에서 많이 잡아야 한 절반정도 수준으로 사고하면서 문제를 풀어요. 제 수준이 부족한건지 문제를 다 맞히는 것은 아니구요.

어쨌든 그래서 생긴 의문이 앞으로 -수능 시험장에서 까진 아니더라도- 실제 문법문제를 풀때 선생님이 써주신 사고과정과 거의 일치하는 경지까지 오른 수준으로서 정확히 풀어내야 하는지 아니면 그 정도 수준까지는 필요없으나 평소에 공부할 때 그 정도 경지까지 근접하도록 노력하는 정도면 되는지, 아니면 제가 지금 문제푸는 수준 정도면 괜찮은건지 궁금합니다.

또 다른 말로 문제 풀때 기타 교재 문제를 풀때 푸는 도중에 그 정도 수준이 머릿속으로 떠오르면서 문제를 풀진 못하더라도 문제를 풀고 스스로 복습을 할 때 선생님이 써준 분석을 스스로 할 수 있어야하는지..하여튼 선생님이 분석해주신 사고과정을 100이라 한다면 저는 어느정도 까지 할줄 알아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즉 평소 공부할 때의 목표수준을 어디까지 잡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모의평가나 수능시험장 혹은 시간제한이 있는 실제 문제풀이 상황에서는, 공부가 끝난다면면 시험지에 거의 다 아는 내용이니까 딱딱딱 풀고 넘어가면 되겠죠?

만약 그게 아니라면 어떤 식으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짧게 답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강의 중간에 선생님께서 실제 문제풀땐 파파박 문제를 풀고 넘어가면 된다는 식으로 말씀하시긴 하셨는데 아직 정확히는 감이 잘 안잡혀서요. 실제 문제풀땐 어떻게 푸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모습인지 잘 모르겠어요.

아직 제가 강의 수강중인데 다음 강의인 기출문제풀이도 듣고, 스스로 하다보면 깨우칠라나요..

 

2. 강의 업로드 오류가 있어요. 알고 계신지 모르고 계신진 잘모르겠는데....

2015 한끝 문법 15강 담화 개념 끝나고 선생님이 문제 예습해오라고 하시고 다음 시간에 마인드맵 그려주고 남은 부분 진도 나간다고 하셨는데 16강을 키니까 예고한 내용이 아니라 바로 p.121 기출문제풀이부분이더라고요.

17강이  p121기출문제 풀이 강의 18강이 p127문제풀이강의 인데 16강하고 17강 동일한 강의가 중복해서 올라왔습니다. 이부분 해결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잘 기억은 안나는데 같은 강좌였나 다른 강좌였나 어느 강의가 순서가 뒤바뀐적이 있었는데....이런 부분은 좀 아쉬워요. 다른 인강수강생도 있을텐데 이러한 컴플레인이 안들어오는건지, 인지는 하고 있었는데 처리를 아직 안하신건지ㅋㅋ

원래 내용에 해당하는 국어와 삶 부분은 반드시 들어야 하는 부분인가요? 시간이 좀 걸릴거 같은데 2014 강의에서 찾아서 들으면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