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수험생의 효율적 대입 공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배인호 선생님 입니다.


일단 제대로 공부를 하시고, 자세나, 사고 방식, 문제를 대하는 방법이 제대로 되셨기 때문에

환경조성이 잘 되고, 주변의 도움만 잘 받으시면 잘 되실 자질과 가능성이 보입니다.


일단 말씀하신 문장과 관련하여 답변드리면


1. 문장 구조는 쓰는 사람의 마음과 의도에 따라 표현된다. 

그리고 동명상의 목적어여서 Whatever(접속사역할)만 나와도 될거 같은데 왜 to + 명사절이 쓰인건가요?

따라서 이 질문은, 문법적으로 문제만 없고, 의미전달만 된다면, 글쓴사람 마음입니다.


2. 해석의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은데 

일단 일부 잘 해석 하셨고, 일부 잘못하신 것 인데

extent is possible 를 정도(범위)는 가능한 무엇이든지를 성취하는데에 있다

이렇게 문장이 S V C로 끝났는데 뜬금없이 the freedom to use his hand가 나오니 해석이 잘안되요

접속사로 연결된 것도 아니고 생략된 관대절도 아닌데


extent is possible 를 "정도(범위)는 가능한 무엇이든지를 성취하는데에 있다"

"그의 손을 사용할 자유" 이렇게 분리되어 지는데 소시보기랑 보면서 이렇게 애매한 문장은 처음이에요

해설이랑 강의보면 저렇게 해석하지 않더라구요

일단 일부 잘 해석 하셨고, 일부 잘못하신 것 인데


p.49 d) The happiness of a student consists in his achieving to whatever extent is possible the freedom to use his hand

                                  S             +      V        +       Ad(v)    + (o)           

-> SVC 구조라고 수업시간이나 해설에서 말했다면 잘못말씀드린것 같은데요.

위의 문장은 S+V+Ad 입니다.

in 전치사 + achieving 동명사 이므로 

전치사 + 명사는 형용사/부사 역할에서 앞의 consist를 수식하는 부사 입니다. 

그리고 'achieving to' 이 품사는 동사(이어동사/동사구로 본다면) 이므로 의미상 목적어를 가져올 수 있고 그것이 

whatever extent is possible the freedom to use his hand

위의 절이지요. 

해석을 하면

'그의 손을 이용한 가능한 자유의 어떠한 범위든지' 입니다.

whatever extent / is / possible the freedom / to use his hand

            S         V      C 
어떠한 범위든 / be /  가능한 자유 / 그의 손을 이용한 / 

이렇게 구조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일단 복잡할 수 있고 난이도가 있으니 이해가 잘 안되실 수 있는데
반복해 읽어보신 다음에도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문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