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에서요,

1. 은는을던+데/바 에서 격조사가 붙으면 의존명사잖아요, 근데 격조사가 붙은 말 중에서 보조사가 붙으면, 보조사는 어말어미뒤에도 붙는데.. 그럼 뒤에 보조사가 왔을 땐 종속적연결어미인지, 의존명사인지 어떻게 구별하나요? 

강의에서 설명하실 때(구별방법이 조사로 보면 안되고 격조사로 봐야함, 왜냐하면 어말어미뒤에는 보조사도 올 수 있으니깐.) 랑 예제 풀때(보조사는 격조사가 생략해서 온거니깐 결국은 격조사가 온거니깐 의존명사)랑 헷갈리네요..

그럼 격조사로 구별한다고 했는데, 격조사 안에 보조사도 포함시켜서 보면 되나요??? 그런데 보조사는 어말어미 뒤에도 올수 있다고 하셨는데........다시 원점이네요..모르겠어요......

2. 구별방법 3번째에서요. 았,었/겠 넣어서 구별할 때요... 넣으면 말이 되는지 안되는지 잘모르겠는데 어떻게 해야 돼요???

넣어서, 읽으면 읽을수록 모르겠어요..

3. 접사엥서요, 관형어+성,뻔,양,체,만,척,법,듯 +하다/싶다 에서 밑줄친 부분 붙여적을 때 연/어(아/어)뒤에 올 때라고 되어있는데 위치가 어디인가요?? 관형어 앞에 연/어 올 때 인가요?

4. '아내는 웃기만 할뿐~' 에서요, 웃기만에서 '체언+만'이기 때문에 붙여써야 한다고 하셨는데, '웃기'가 어떻게 체언이예요???

5. 의존명사 '뿐' 에서요, 체언뒤에 오면 보조사라고 하셨는데, 왜 보조사왜요? 조사 아니예요? 

어쩔땐 체언+조사로 하시고, 보조사로 하시고.. 차이가 있나요?? 띄어쓰기 부분에서도 구별을 해둬야 하나요??

6. 사전에서 단어 찾아보면요, -표시가 있는데 이건 뭔가요??

7. 체언+내외초말; 이경우는 예외로 봐도 되나요?? 원래 체언+조사잖아요,, 체언+조사랑 아무 관련 없는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