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배인호 선생님 입니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일전 답변에서 상당부분 해결해드린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답변드릴께요.


1. (교재 p.13) 81. I was made to clean the room

 81번은 사역동사의 OC에 원형부정사가 와야하는데 수동태로 전환할경우 to를 붙여준다 이걸 교재에서 발견했는데 논리적으로 왜그런건지 모르겠네요 (2014 강의에 따로 설명이 되질 않아 교재에서 확인했습니다. 2015 강의에서도 못찾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원형부정사는 동사원형을 씁니다.

동사 원형은 문장성분으로 쓰이는 동사이구요. 


하지만, 문장성분으로 쓰이는 동사는 본동사 하나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문장중간에 본동사가 될 수 있는 동사가 2개 오면 안되겠지요. 

따라서, 원형부정사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단, 사역/지각동사는 관용적으로 원형부정사로 쓰는 것이 굳은 것 뿐 입니다.


 I was made to clean the room

이 문장은 사역동사가 아니므로, 당연히 문장성분으로 쓰이는 원형동사 clean이 아닌 문장성분으로 쓰이지 않는 to 부정사로 써야 문법적으로 맞습니다. 


82. Let it be done at once

 수동태의 경우 82번이 명령문의 수동태를 보여준다 그랬는데 원래 문장은 무엇이고 왜저렇게 쓰였는지 궁금합니다.

(이 문장에 대해서도 강의에서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아시다시피 명령문은 주어인 you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원래 위의 문장은


You / let / it / be done / at once.

S / V / O / C / Ad

너 / ~해 / 그것을 / 그것대로 되도록 / 일단


일단 너는 그것이 그것대로 되도록 냅둬. 


이렇게 해석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let' 은 '~해' 라는 사역동사입니다. 

따라서 let 동사가 들어간 문장의 목적보어자리는 원형부정사/ past participle 이 오는 자리고, 

능동의 의미일때는 원형부정사, 수동의 의미일때는 be 동사 + past participle 이 옵니다.


2. (교재 p.18) 의문문 21번 Who can answer that quastion (문장은 이게끝)

의문문의 어순은 V S 인데 이건 S V 형식으로 돼있어서 좀 헷갈립니다.

의문사가 주어로 쓰인 문장과 일반 의문문의 어순이 좀헷갈리네요


의문문은 V + S 어순으로 써서 의문문 임을 밝힙니다. 

그런데, 의문사 who는 이 문장에서 주어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의문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어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문장의 처음에 왔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의문문 + V + S 의 어순과 다르다고 볼 수도 있지만, 

어떤 문법 원리를 암기하여 꼭 그것이 적용되어야 한다기 보다는,

문법이란 의미를 더 잘 전달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다보니, 꼭 한가지 원리가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없음을 이해하시고.

의미 전달에 지장 없는지를 고민해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3. (교재 P.22) 조동사 46번 It is necessary that you (should) keep your promise (이게 끝)

밑에 47번도 강의에서는 왜생략했는지 따로 설명이 없었답니다 ㅠ.ㅠ

이것은 제가 가정동사라고 가정법 파트에서 수업해드립니다. 2014/2015 버전의 가정법 파트 수강바랍니다.


 4. (P.45) 명사절 168. I don't know whether he will come (or not) 을 직접화법으로 바꾸면

어떤문장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직접화법 간접화법 바꾸는 것도 어떤 문법 원리가 있다기 보다는, 

의미가 통하게 바꾸면 됩니다. 

문법이 어떤 법칙이 우선이 아니라 의미가 통하느냐 아니냐를 따집니다. 


I don't know whether he will come (or not) 

해석을 하면 나는 그가 올지 말지 몰라. 

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직접화법/간접화법으로 바꾸는 것이 의미적으로 가능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나는 그가 올지 말지 몰라' 라는 말이 인용구로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제가 질문드린 사항은 제수준의 문제가 있을수도 있으나 강의에서 지나치고 넘어간 부분도 있습니다.

문법 초급수준 학습하고와서 강의 듣는데 별지장이 없었구요

지금 제가 올린 질문들은 강의 듣는 학생들중에 이상하다? 하는 학생이 있을거에요

공부를 열심히 하시는 것 같아 보기 좋습니다.

질문은 뭐든 좋은 하시기 바랍니다.

단, 충분히 고민해보고 생각해 보시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서, 질문을 자제하라는 뜻이 아니라, 좀 더 고민해보라는 뜻으로 말씀드렸습니다.


열심히 하시는 것 같아 기분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