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재 p.13) 81. I was made to clean the room

 81번은 사역동사의 OC에 원형부정사가 와야하는데 수동태로 전환할경우 to를 붙여준다 이걸 교재에서 발견했는데 논리적으로 왜그런건지 모르겠네요 (2014 강의에 따로 설명이 되질 않아 교재에서 확인했습니다. 2015 강의에서도 못찾겠습니다.)

82. Let it be done at once

 수동태의 경우 82번이 명령문의 수동태를 보여준다 그랬는데 원래 문장은 무엇이고 왜저렇게 쓰였는지 궁금합니다.

(이 문장에 대해서도 강의에서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2. (교재 p.18) 의문문 21번 Who can answer that quastion (문장은 이게끝)

의문문의 어순은 V S 인데 이건 S V 형식으로 돼있어서 좀 헷갈립니다.

의문사가 주어로 쓰인 문장과 일반 의문문의 어순이 좀헷갈리네요


3. (교재 P.22) 조동사 46번 It is necessary that you (should) keep your promise (이게 끝)

밑에 47번도 강의에서는 왜생략했는지 따로 설명이 없었답니다 ㅠ.ㅠ


 4. (P.45) 명사절 168. I don't know whether he will come (or not) 을 직접화법으로 바꾸면

어떤문장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질문드린 사항은 제수준의 문제가 있을수도 있으나 강의에서 지나치고 넘어간 부분도 있습니다.

문법 초급수준 학습하고와서 강의 듣는데 별지장이 없었구요

지금 제가 올린 질문들은 강의 듣는 학생들중에 이상하다? 하는 학생이 있을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