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다음은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을 설명한 내용이다.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교육은 성리학에 근거하여 진행되었다.

② 교육의 목적은 윤리, 도덕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절대적 진리를 추구하는 인간의 양성에 있었다.

③ 교육의 방법으로는 성현의 행실을 모방하는 데 있었다.

④ 교육의 내용은 소학과 사서 및 삼경이었고, 그 숭배의 대상은 孔, 孟, 程, 朱子였으며, 수양강령은 궁리와 치지 등이었다.

⑤ 조선 후기에는 실학의 교육사상의 주류를 이루었다.

 

해설에 보면, 윤리, 도덕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선인의 양성 그 자체가 목적이었으며, 절대적 진리를 추구하는 인간의 양성은 아니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답은 ②로 처리되어 있고요.

 

그러나 제 생각에는 성리학이 바로 주자를 절대시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②는 맞는 지문으로 생각하고 있고 오히려 ⑤의 경우를 오답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조선 후기에 실학이 등장하기는 했어도 서인에서 노론으로 정권이 이어지면서 성리학은 더욱 교조화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거도 성리학을 더욱 중시하였다고 보고 있고요.

 

만약 ②가 답이 되어야 한다면 왜 그렇게 되어야 하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