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질문이세요.
해당지문은 "사회적" 욕구라는 말보다 사회적 "욕구"에 비중이 있는 것입니다.
선별주의에서는 "욕구"의 중요성과 그 우선 순위에 따라
보다 많은 욕구를 지닌 시람을 선별하는 것이지요.
개인적 욕구가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면 그것을 사회적 욕구하고 하는 것이니 사회적 욕구 안에 개인적 욕구도 있는 것이지요.
보편주의는 현재 욕구가 있든 없든 예방적 차원에서
모두를 대상자로 삼으려 하는 것입니다.
누구라도 위험 발생가능성이 있으니까요.
질문주셔서 고맙습니다.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