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감사드립니다.

다만 강의를 들으시면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만,

강의를 듣지 않고 보시는 선생님들을 위하여

다음 주 강의가 마무리되면 정오표를 올려드리려고 하고 있어요.

 

질문하신 내용은 책의 내용이 맞습니다.

해당내용은 제 기출문제분석지 465쪽에 정리가 잘되어 있는데요.

시험에 출제된 내용이기도 하고,

서울대학교 최일섭교수님 책에서 정리된 책이므로

반드시 알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공공의 이익에 대한 관점으로

슈버트는 3가지로

1. 합리주의적 견해 - 공동의 이익은 다수의 이익을 표현함으로서 결정된다고 보는 것

2. 이상주의적 견해 - 공공의 이익은 소수 전문가 집단이 정치적 엘리트들이 결정하고 실천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고 보는 것

3. 현실주의적 견해 - 공공의 이익은 현실에 존재하는 수반은 이익딥단들의 갈등 그리고 거기서의 과도한 타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는 것

 

마이어슨과 밴필드는 공익에 대해 2가지로

1. 중앙집권적 개념 - 경쟁하고 있는 사소한 이익들보다 전체의 공익을 찾아내기 위해 중앙집권적 결정을 내리려고 한다고 보며,

2. 개인주의적 개념 - 공익은 사소한 이익들의 타당성을 인정하고, 단독적인 중앙결정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인 복합사회에서 공통의 선으로 도달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상의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죠...

 

지역사회개발모델은 합리적 견해

사회계획모델은 이상주의적 견해

사회행동모델은 현실주의적 견해

 

지역사회개발모델과 사회계획모델은 중앙집권적 개념

사회행동모델은 개인주의적 개념에 해당됩니다.

 

질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우선은 제 카페에 별도의 메뉴를 만들어

집중사회복지학의 오류 및 질문에 대한 QnA를 만들어 놓고

집중사회복지학에 대한 내용을 모아놓겠습니다.

 

그리고 다음 주 중에는 일괄적으로 정오표 올리겠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