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쪽 연합관계는 정답과 해설의 일부분이 잘못되어 있네요. 

죄송합니다. 


정답은 ①번이 맞습니다. 

'②, ③번은 협조관계, ④, ⑤번은 동맹관계에 해당되는 설명이다.'로 바꿔야겠네요. 


1번이 맞는 이유는 연합관계에서는 

연합관계에 참여하는 조직들은 하나의 조직처럼 독자적으로 통제력을 갖게 되므로

모든 행동에 참여할 필요가 없는 것이 맞습니다. 


질문 감사드립니다. 



=====[보충설명]=============================================

협조(cooperation)관계

      ㉠ 타조직과 최소한의 협력을 유지하는 관계유형으로, 이 관계 속에서 각 조직은 자체의 계획대로 운동을 전개하면서 필요에 따라 일시적인 협력을 하는 것이다. 이에 참여하는 조직들은 운동의 효과는 늘리면서 자체의 기본적인 목표나 계획을 바꾸지는 않는다.

      ㉡ 협조관계에서 참여하는 조직들은 시위를 위한 일시, 진행로, 연사, 언론과의 접촉 등에 관해 서로 협의하는 정도의 협력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한 조직이 자기네의 주장을 타조직에게 지나치게 강요할 경우 협조관계는 단절될 수 있다.

연합(coalition)관계

      ㉠ 참여하는 조직들 간의 이슈와 전략을 공동으로 선택하는 보다 조직적인 협력관계를 말한다.

     ㉡ 어떤 문제가 개별적인 사회행동조직의 노력만으로는 쉽사리 해결될 수 없는 장기적인 성격의 문제일 경우에는 이 같은 연합관계를 맺는 것이 좋다.

     ㉢ 이 관계 속에서 참여하는 조직들은 각각 대표자를 선정하여 운영위원회 같은 조직을 구성하고 회의를 소집하여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협의하게 된다. 공동의 관심사가 발견된 후에는 이들 조직들은 하나의 조직처럼 행동을 할 수도 있다.

     ㉣ 이 운영위원회는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할 문제에 대해 논의를 하고 추진할 전략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결정은 다시 각각의 조직에 회부되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참여조직은 독자적인 통제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동맹(alliance)관계

      ㉠  가장 고도의 조직적인 협력관계를 맺는 경우로, 이는 유사한 목적을 지닌 조직들이 영구적이고 전문적인 직원을 둔 대규모의 조직관계망을 갖는 것이다.

     ㉡ 이와 같은 동맹관계는 회원조직들의 회원을 훈련하고 캠페인을 준비하는 등 전문적인 활동이 필요한 경우에 매우 바람직한 협력관계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