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러면 활유법에는 의인법이 속하는 건가요??

----------------------------------------------

활유법과 의인법을 구별할 수 있으면 됩니다.

이건 안 중요합니다.

 

2) 거룩한 분노 라는 시어도 역설법에 해당할 수 있나요?

------------------------------------------------------

역설법입니다.

 

3) 운율에서 동일 통사적 구조 반복이 곧 대구 인거 맞나요??

---------------------------------------------------------

대구입니다.

 

4)'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 가 역설인건 알겟는데요 은유(A=B)는 안되나요??

-----------------------------------------------------------

안 됩니다.

비유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5) 어휘 질문인데요~ 한자 어휘말고 고유어, 속담, 관용어 같은 것들도 혹시 2013 기본 강의에 있는건가요??^^

-----------------------------------------------------------

2014 강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