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회계학과 학생인데 공무원준비와는 상관없이 기초가 많이 부족해서 확실히하고자 질문드립니다~~ㅠㅠ
<질문1>쌩기초회계학 p.30 6번문제
기말자본총계를 구하는 문제인데요
해답대로 기말부채는 무시하는 방법도 보면 이해가 되는데요
(기초자산-기초부채=기초자본 이고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기말자본15,000,000)
그런데 다른 방법도 되지 않을까 생각되어 질문드립니다
제가 생각하는 방법은 기초부채를 무시하고
기초자산에서 당기순이익(총수익-총비용)을 더하면 기말자산이 되고
30,000,000 + 3,000,000 = 33,000,000
이 기말자산에서 기말부채를 빼면 기말자본이 14,000,000
33,000,000 - 19,000,000 = 14,000,000
이 방법으로 하면 답이 달라지긴 하는데 왜 이렇게 하면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 ㅠ
문제에 있던 가정으로
(단, 기간중 손익거래와 배당지급 외 자본총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나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나와있는데 혹시 이 가정때문인가요?
<질문2>쌩기초회계학 p.40 7-1번
문제가 자산과 부채만 나와있어서 자본을 구해서 재무상태표를 작성해야하는 문제인데
해답에는 자본금(기초자본금) 830,000이라고만 나와있는데
자본=자본금+이익잉여금이고 다른 언급이 없으니 그 둘의 합이 830,000이라고 해야하지 않나요?
아니면 (기초자본금) 이라는 말이 그 둘이 포함되어있다는 말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기초자본금이 아닌 기초자본 이라고 해야하지 않을까요?
혹은 처음부터 삼오상사의 영업개시일이 20x1년 1월1일이라는 전제가 있거나요
<질문3>쌩기초회계학 p.106 14번
당기에 현금지급한 보험료를 묻는 문제인데요. 제가 선급보험료 계정을 아래와같이 그렸고
기초 기말이 주어졌고, 당기발생을 구하려면 당기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되어 있는 보험료 60,000을
당기발생에 넣어서 금액 64,000 정답이 나오긴 했는데요,
이 당기 지급금액은 분명 선급보험료(자산)의 차감항목으로 대변에 나와야 하는 것 같은데
계정 차변의 +증가 항목으로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문제를 잘못이해한건지 아님 계정을 잘못이해한건지 너무 헷갈립니다ㅠ
선급보험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초12,000 / -당기발생
+증가 /기말 16,000
<질문4>쌩기초회계학 p.142 8번
보기 첫번째문항에 2009년 12월 29일 선적지인도조건으로 구입한 상품15,000이 12월 31일현재 운송 중에 있다.
이 상품의 금액을 재고자산에 가산하는 것이 정답으로 나와있는데요.
선적지 인도조건이면 도착지인도조건과는 달리 판매자의 손을 떠난 순간 구매자의 재고가 되기때문에
현재 운송중에 있는 것은 이미 회계처리가 끝난 것이므로 가산할 필요가 없는것이 아닌가요?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질문5>쌩기초회계학 p.200 1번
매출채권이 회수불능되었을 때
직접차감법은 당기순이익이 감소되고 /충당금설정법이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나와있는데요
충당금 설정시에 대손상각비 도 비용인데 왜 이것은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는건가요?
혹 전기말에 내년 대손금을 예상하고 상각비를 설정하는 것이라 당기가 아닌 전기 순이익에 영향을 미치는건가요??;;
<질문6> p.251 16번
저가법에 의한 재고자산 평가에 총액기준은 '무조건' 순실현가치로만 반영하면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