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고사 문제 다시풀다가 질문이 생겨서요..

2013 대비 교육학 실전모의고사 문제집입니다.

 

14회-1번

교육관에 따라 교원의 자질을 구분할 때 '진보주의 관점'에서 요구하는 교원의 자질을 골라 묶으면?

 

보기 가. 조언자, 협조자, 민주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나. 특정교과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친 지식과 기술을 지니고 있다.

       다. 탐구방식에 의거하여 아동들을 학문의 세계로 유도한다.

       라. 가르칠 교과의 기본구조와 새로운 지식에 정통한 사람이다.

       마. 교과뿐만 아니라 심리학 및 사회학 등에 관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다.

나, 마 이거 두개가 진보주의 관점에서 보는 교사상 이라고 되어있는데, 혹시 이 말이 인간중심에서 보는 교사상이라고도 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진보주의에서만 볼수있는 교사상이라고 봐야하나요?

 

14회-9번

사회학습이론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통찰학습
  2. 모방학습
  3. 관찰학습
  4. 자기통제과정
  5. 대리적강화학습

보기중에 '자기통제과정'이 사회학습이론에 들어간다고 되어있는데,

왜 자기통제가 모방학습과 관련이 있는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18회-4번

교육의원을 겸직할 수 있는 경우는 무엇인가? 의 문제인데요, 이게 혹시 기본서 어디쯤에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어디있는지 찾아보려하는데 잘 못찾겠네요..

 

24회-4번

자이가닉 효과란?

  1.  서로 연속성이 있는 자극들이 함께 조직되어지는 경향
  2. 자극들이 서로 가까이 모여 있을 때 한데 묶여져 지각되는  경향
  3. 내적동기가 강할때 잘 기억하는 경향
  4. 완전한 것보다 불완전한 과제를 더 잘 기억하는 경향
  5. 형태와 배경 중 배경을 중심으로 지각하는 경향

답이 4번인데요, 교수님께서 자이가닉 효과가 동기지움설과 같은것이라 하셨는데, 왜 3번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24회-6번

관료조직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사회봉사활동을 성적에 반영하기로 하자 학생들이 봉사정신의 함양보다는 사회봉사기관의 횟수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1. 규정과 규칙의 강조
  2. 경력지향성
  3. 권위의계층화
  4. 분업과 전문화
  5. 몰인정성

답은 1번인데, 왜 2번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좀 많죠.. 궁금한것 답변 꼭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