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목에서는 면접법이 질적연구라고 해서 배웠습니다.

그런데 예전에 모싸이트동강에서는 사회복지강의들을때 면접법이 양적연구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김진원교수님 책을 찾아보고 양적연구인지 질적연구인지 찾아보려고 해쓴데 없더라구여..

면접법은 질적양적 모두 포함인가여? 아니면 질적연구인지...

 

질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면접법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에 모두 쓰입니다.

 

면접법(interviewing)이란 조사자와 피조사자가 얼굴을 맞대고 상호작용하면서 필요한 자료를 얻어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면접법은 여러 측면에서 그 종류를 나눌 수 있는데요.

진단적 면접/조사면접, 전화면접/대면면접, 개인면접/집단면접, 단기면접/장기면접 등이 그것입니다.

 

[1]

면접은 면접내용의 구성형식에 따라서 표준화된 면접과 비표준화된 면접, 반표준화된 면접으로 구분합니다.

표준화된 면접(=구조화된 면접)은 사전에 조사표를 만들어 모든 사람들에게 같은 순서와 같은 언어로 심지어는 어조까지도 동일하게 질문하여 면접하는 방법입니다.

비표준화된 면접(=비구조화된 면접)은 질문의 문항이나 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고 면접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비교적 자유로운 면접방법이지요.

[2]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는 무엇인가요? 각각을 정의내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양적 연구 혹은 양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은 관찰한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관찰을 숫자로 표현하고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질적 연구 혹은 질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은 사회적 관계의 숨겨진 의미와 유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관찰의 비수치적 조사와 해석, 역사적 조사와 현장조사의 가장 전형적인 분석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1]과 [2]를 조합해 볼까요?

눈치 채셨겠지만,

표준화된 면접은 양적 연구에 쓰입니다.

반면 비표준화된 면접은 질적 연구에 쓰입니다.

 

다시 말해서 면접법은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입니다.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므로

양적연구를 하건, 질적연구를 하건 각 연구를 할 때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쓰이는 것입니다.

 

질적연구에 쓰이는 면접방법을 질적 면접(qualitative interview)라고 합니다.

그리고 양적연구에 쓰이는 면접방법을 서베이 면접이라고 합니다.

질적면접은 표준화된 설문지(즉 표준화된 조사표)를 가지고 조사하는 서베이 면접과 대조적으로

표준화된 질문들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심층적으로 논의될 일련의 주제에 기초하는 것이지요.

 

정리하자면, 면접법에서

표준화된 면접은 양적연구에

비표준화된 면접은 질적연구에 쓰입니다.

따라서 면접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 모두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