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준비를 위해 강의 수간중인 학색인데요~

현재 4강까지 듣고 있는데...

공무원과 1급을 구분해서 범위를 줄여준다고 하셨는데 크게 그런것을 못 느끼겠고

오히려 시험에 안나온다면서 줄치라고 하셔서 수험생입장에서는 범위를 너무 넓혀주시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ㅠㅠ

또 기출들을 훑어보고 강의 들어보니

너무 깊게 들어가시는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그래서 지금 무엇을 외우고 무엇을 이해를 위해 사용해야 할 지 감이 안잡히는데;;;

어찌하면 좋을까요? 기본서는 이해용으로 사용하고 핵심요약만 달달 외우는게 좋을까요?

 

시험일이 앞당겨져 심리적으로 압박감이 있으시더라도

이론강의는 차분히 들어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무원시험이 17~18문제정도 기출문제가 1번이상 출제되었던 부분에서 문제가 나옵니다만,

이론서에 최대한 강의내용을 적으시면서 강의를 들으시길 권해드립니다.

 

다만, 무엇이 중요하고 중요하지 않은지에 대한 판단은

이론진도에 맞게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는 것입니다.

 

제가 이론강의에서 중요도를 표시하지 않은 이유는

제1부 내용은 시험에 모두 나왔던 부분들이기도 합니다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해당 진도내에서

어떤 기출문제가 나왔는지를 모두 풀어보시는 것이죠.

실제 내용이 어떻게 응용되고 변형되고 어느 부분이 논점으로 나오는 지를 간파하실 수 있으십니다.

 

#기출문제도 샀는데

다른 과목들은 2008년 이전의 문제는 의미 없다는게 타 과목 강사님들의 의견인데

사회복지학은 이전 기출까지 다 포함하는게 어떻게 의미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문제를 보면 수험생의 입장에서 봐도

다른과목들은 2008년 즈음 해서 문제공개로 인해서 경향과 문제자체도 많이 바꼈더라구요

수험생의 입장에서 불안한 마음에 이런 질문 남깁니다. 궁금한 점 이기도 하구요~

그럼 전 다시 5강 들으러 갑니다~ㅋㅋㅋ파이팅입니다.

사회복지개론만큼은 2008년 이전 문제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차라리 단원별 객관식문제집을 풀어보는 것보다

역대 기출문제가 해당진도부분에서 어떻게 나왔는지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이유를 들어보면,

 

올해 2013년 서울시에서 출제된 정책결정모형은

----------------------------

문 20. 사회복지정책 결정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합리적 모형 – 최대한의 사회적 이득을 보장한다.
ㄴ. 점증모형 - 과거의 기존 정책을 조금씩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ㄷ. 쓰레기통 모형 – 정책결정을 체계론적 시각에서 파악하고 정책성과를 최적화하려 한다.

-----------------------------
제 기출문제분석집을 보시면 584쪽에 2008년 이후에는 한번도 나오지 않았던 문제입니다.

하지만, 2008년 광주시, 2005년 강원도에서는 출제가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다른 선생님들은 이문제를 [난이도가 상]인 것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올해 서울시에 출제된 정책결정모형은 [난이도 하]에 해당된 것입니다.

왜 중요한지를 아시겠지요?

2008년 공개된 기출문제를 분석하면서 보니,

2008년 이전 문제에 대부분이 포함되고 있습니다.

 

다만 2008년 이전문제와 그 이후의 기출문제가 다른 것은

문제의 난이도, 지문이 길어졌다는 것, 조금 최신의 내용들이 추가되는 것 등등인데요.

결국 시험의 출제되는 영역 즉 지점은

마치 낚시를 갈 때 물고기가 잘 잡히는 곳이 있듯이

유사합니다.

 

기출문제분석집이 문제가 많아보이시나요?

올해 합격하신 분이나 올해 사개론 100점을 맞으신 분들 중에

제 기출문제분석집을 일주일에 100쪽씩 보신 분들도 계세요.  

즉 이론강의 마치고 기출문제분석집 회독수를 높여서 시험을 보신분들도 계십니다.

문제가 결코 많지 않고 대부분 겹치고 있으므로 반복 풀이에도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결코 2008년 이전의 단순 암기형의 문제는 2008년 이후에는 출제되지 않는다는 점만 유념하시면 되세요.

 

$지금 한국의 사회복지 듣고 있는데요 (제2 장)

별표 치라는게 많은데

이 많은 제도의 연도를 다 외워야하나요?...강의에서는 외우라고 하시는 것 같은데;;;

 

외운다는 표현보다 눈으로 익히시고요.

이것도 기출문제로 뼈대를 잡으셨으면 합니다.

실제 해당부분의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어느 법령을 외워야 하는지 아닌지를 바로 아실 것입니다.

 

현재 야심차게(?) 핵심요약본이 약 300~350쪽으로 정리가 되고 있습니다.

11월 중에는 어떻게든 소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손질하고 다시 손질하는 반복작업을 계속하여 조각 중에 있습니다.

이 책이 출간되면 역대 가장 좋은 핵심요약본이 출간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론강의 이후에는 기출문제분석집과 핵심요약노트로 최종점검하시고,

추후 모의고사로 문제풀이 연습을 하시면 충분히 사개론은 고득점이 가능하실 것입니다.

 

힘내시고요.

추위에 건강도 잘 살피시면서 열공, 혈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