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에스핑 - 엔더슨에서 복지체제유형론에서

보수주의 복지체제에서 가족의 역할은 중심적이고 시장의 역할은 주변적 국가의 역할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데

보수주의는 국가를 배제하는데 여기선 왜 국가의 역할을 주변적으로 하지 않고 보조적으로 하나요?

음... 보수주의적 복지국가에서는 국가가 사회복지 주체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어떤 문장에서 이런 질문을 하게 되었는지요...

음.. 제가 이 부분은 다시 좀더 상술하여 설명해 드리도록 할께요.

 

2. 그리구 보수주의를 다른 말로 조합주의라고도 하는데,,,,

조합주의는 복지 다원주의를 주장한 국가와 민간의 합이잖아요

그런데 보수주의를 조합주의랑 같은 맥을 하고 있는 이유는 먼가용? ㅜㅜ

보수주의적 복지국가를 조합주의적 복지국가라고 하는 이유는

이들 나라들의 사회보험 운영방식이 통합주의방식이 아니라 조합주의적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인데요.

조합주의란 직업별, 계층별로 보험을 달리 운영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보수주의적 복지국가는 사회계층 유지라는 말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3.세이의 법칙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용 ㅜㅜㅜ

Say's Law of Market 즉 세이의 법칙은 공급이 수요를 창출한다는 대단히 낙관적인 고전파의 주장으로,

만약 세이의 법칙이 맞다면 1929년의 경제대공황은 나타나지 않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