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사례관리에서 재가복지에서 시설복지로 전환하는 거 맞나요??
사례관리는 탈시설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설복지가 아닌 재가복지과 관련이 있어요.
제가 강의에서 영국이나 미국이나 주립정신병원을 폐쇄하고
정신질환자를 1차집단이 가족으로 돌려보내는 것 말씀드렸는데요.
지역사회 내에서 그들을 돌보는 것, 즉 치료가 목적이 아닌 관리이죠..
2.사회복지실천에서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이 있잖아용
가족치료는 직접적 개입이 아닌가요?
그리구 사회적 지지망 개발이 왜 간접적 개입이 아닌가요???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은 제이론서 427~428쪽에 정리가 되어 있는데요.
가족치료는 직접적 개입이 맞고요.
사회적 지지망 개발은 간접적 개입입니다.
보통 1급시험에서 그간 출제된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의 구분은
간접적 개입만 확실히 알면 문제가 풀립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중개자, 중재자, 옹호자 일 때 간접적 개입에 해당합니다.
당연히 환경조작 등과 같은 환경에 대한 개입활동은 간접적 개입에 해당하겠고요.
3. 사정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 모니터링을 하나여???
클라이언트의 자기모니터링은 자료수집의 출처와 관련된 것인데요.
자료수집의 출처는 다시 사정에서 추가 정보수집을 위해 다시 해당되는 것이니까요.
굳이 사정단계에서도 해당된다고 말하면 될 수도 있겠으나
우선은 자료수집단계의 자료수집의 출처로 보는 것이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