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생어 기본틀이 실/언 + 접사 잖아요~ 그런데 이 틀만 갖고 있고 다른 품사가 붙어도 파생어 되는 건가요?
예를 들어 : '밥을 먹이는 모습'에서 먹이는이 어근 + 사동접미사 + 관형사형어미 이렇게 분석했는데요
그 틀만 유지 되면 되는 거건가요??(어미 등등 덧붙어도 되는 건가요??)
-------------------------------------------------------------------
네, 그렇습니다.
둘째 음절 이하이면 접미사입니다.
2) '도형의 넓이 부터~'라는 곳에서 넓이의 이가 저는 명사형 어미라고 저는 분석했는데요, 답에서는 접사라고
나와 있더라고요. 명사형 어미도 맞지 않나요??
-------------------------------------------------------------------
서술어 기능을 못하면... 접사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명사화 접미사가 맞습니다.
3) 새롭다에서 롭이 접미사라는 것은 찾았는데 새롭다의 원형은 뭐에요??
------------------------------------------------------------------
새(명사, 오늘날은 관형사)입니다.
그 뒤에 '롭'이라는 접미사가 붙은 것입니다.
4) 참기름, 들기름이 각각 2가지 의미가 있는 건가요?? 하나는 참(들)깨로 만들었다는 것과
두번째는 좋은(야생의)라는 의미요;;
-------------------------------------------------------------------
참기름은 참깨로 짠 기름, 들기름은 들깨로 짠 기름이라는 뜻입니다.
5) 어원 같은것 찾아 볼 수 있는데 있나요?? 매번 여쭙기 번거로우실것 같아서요;;
------------------------------------------------------------------------------
네이버사전이나 통합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습니다.
6) 마지막으로 '하다'라는 것이 접사로도 쓰이고 동사로도 쓰이는 것 같던데 정확히 어떻게 쓰여요??
-----------------------------------------------
'명사/부사' 뒤에 붙은 하다는 접사입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제가 많이 몰라서요ㅠㅠ 그렇지만 알고 싶어서요ㅠㅠ
최대한 깔끔하게 정리한다고는 했는데 어떠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