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 기출문제 1번과 2번 질문드려요 ㅋ
1번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언어의 자의성인데
제 짧은 생각에는 보기 1번은 이음동의어 3번은 의성어 4번은 이음 동의어 로 자의성에 대한 내용인거 같은데
2번은 중세어가 사라졌다는 내용으로 보아 역사성의 사멸어를 설명하는 거같은데 2번이 왜 자의성에 대한 내용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네, 언어의 역사성도 '자의성'에 들어간다는 사실 강의시간에 들으셨죠?
또 하나, 문제에서 '아닌 것'을 고르라는 것이 아니라, '약한 것'을 고르라는 것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이 문제의 설문 4개는 모두 자의성과 관련됩니다.
그 중, 자의성('임의성, 수의성'이라고 생각하면 더 쉬움)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이라는 것입니다.
'임의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음성'에 여러 가지 '의미'가 대응되거나, 여러 가지 음성이 하나의 의미에 대응해야 임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3번은 '1:1'의 특수한 경우거든요.
따라서 자의성을 설명하기에 부족한 사례입니다.
이 문제는 높은 수준의 문제이기 때문에...
칼로 자른 듯...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을 나누어 생각하면 못 풉니다.
셋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풀 수 있습니다.
2번에서는 대충 코를 가슴으로 부를수 있고 가슴을 코로 부를수 있다는 내용인데 저는 이것을 사회적 약속이라 생각하여 사회성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사회성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첫 문장이 주제문인데...
엉뚱한 것에 초점을 맞췄군요.
첫 문장에서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라고 명시했고...
그 뒤는 사례라고 분명히 말했으므로... 거기에 기준을 두고 풀어야 할텐데...
너무 자의적으로 문제를 풀고 있는 듯합니다.
자, 그럼 열심히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