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감사드립니다. 


1.라이언이 제시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집합주의'입니다.) 있잖아용

머가 더 좋고 머가 더 나쁘냐? 이런 개념은 없는건가요?

라이언(Ryan)은 사회복지를 이념적 토대를 근거로 예외주의와 보편주의 입장에서 접근하였지요. 

이때 

예외주의는 선별주의 = 잔여적 사회복지 = 개인주의 

보편주의는               = 제도적 사회복지 = 집합주의 

무엇이 더 좋고 더 나쁘다는 것보다는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각의 입장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예외주의에서는 개인적 욕구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 목표효율성이 높다는 것 등

기출문제를 보시면 제도적 사회복지의 입장과 거리가 먼 것은? 

잔여적 관점으로 옳은 것은? 이렇듯 질문이 나오거든요...

 

2.다수파 보고서와 소수파 보고서에 대한 질문이에요

다수파보고서가 보수주의고 소수파보고서가 페이비언 사회주의 잖아요

이 보고서가 위에 1번에 질문하였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의 관계랑 비슷한가요?

ㅜㅜㅜㅜ 이해가 잘안되요 ㅜㅜ

1909년 제출된 다수파보고서와 소수파보고서에서는

다수파보고서를 제출한 위원들의 핵심인물들은 COS회원들이었다는 것과, 

소수파보고서를 제출한 위원들의 핵심인물들은 페이비언협회회원들이었다는 것인데요. 

사실 공무원시험에서는 다수파보고서와 소수파보고서의 내용이 딱 한번 문제가 출제된 적 있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이 나온 것이 전부입니다. 즉 시대구분상 언제 나왔는지만 알아도 되었던 것이죠. 

----------------------------------------------

           문제. 다음 중 시대적 상황이 다른 것은?  05.충남

      ① 개정구빈법

      ② 공장법

      ③ 왕립 위원회 다수파 소수파 보고서

        ④ 차티스트 운동으로 보통선거권 획득

             <정답> 3번 

            <해설>  

           ① 1834년 개정빈민법

           ② 1819년과 1833년 공장법(Factory Act), 

           ③ 1909년 왕립위원회 다수파 보고서

            ④ 차티스트 운동영국에서 1837년부터 1848년에 걸쳐 행해진 급진정치운동

     ----------------------------------------------

  굳이 다수파보고서와 소수파보고서를 개인주의와 집합주의로 연결한다면,

  다수파보고서는 개인주의에, 소수파보고서는 집합주의에 가깝겠지요. 

  다수파보고서의 주요인물이었던 자선조직협회 회원들은 빈곤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두고 있습니다. 

  소수파보고서의 페이비안협회 회원들은 1945년 노동당의 애틀리가 집권하고 나서 

  영국 복지국가의 초석을 놓은 노동당의 브레인역할을 하게 되거든요... 

  참고로 공무원에서 시험이 나오는 경향으로 공부를 해야 하므로 

  다수파보고서는 위처럼 2005년 충남에서 나온 문제가 전부였음을 기억하시고 공부의 깊이 조절하시길 바랍니다. 


3.사회주의,공산주의,우파, 좌파가 있잖아요

집합주의를 예를 들자면 사회민주주의,페이비안 사회주의,사회진보주의,급진주의 등 좌파의 사상과 밀접하다고 하셨는데 이게 어떤 말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ㅜㅜㅜ 좌파 우파에 대해 확실히 알려주세요 !!! 사회주의 공산주의 휴 ㅜㅜ 정의는 알겠는데요 ㅜ 확실한 이해가 안들어서요 ㅜ 교수님도와주세요 ㅜㅜㅜ

우선은 이렇습니다. 

개인주의와 집합주의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은 기출문제가 나왔었기 때문입니다. 

---------------------------------------

           제도적(institutional) 사회복지와 잔여적(residual) 사회복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9급보호직

              ① 제도적 사회복지는 사회복지를 독자적인 사회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제도로 본다.

           ② 잔여적 사회복지는 예외주의와 보수주의 이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③ 제도적 사회복지에서는 사회복지의 대상자에 대한 선별적 사후치료 서비스를 강조한다.

           ④ 잔여적 사회복지에서는 사회복지의 대상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효과가 나타나기 쉽다.

----------------------------------------

즉 예외주의는 개인주의와 맥을 같이하고 있으면 개인주의는

정치적으로는 보수주의, 경제적으로는 자유방임주의와 맥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 2012년 보호직 문제에서 문항 2번은 맞는 문장이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제가 개인주의와 집합주의 표를 소개하였습니다만, 

너무 깊게 들어가지 마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이데올로기와 사상적 조류를 추후에 학습하게 되시는데요. 

제 핵심요약노트로 표를 통해 정리한 것을 첨부하였으니 다운로드 받아서 꼭 열어보시길 바랍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다시 질문해 주시면 성실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