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의 확신을 하시면서 <아래>의 자료를 통해 자신의 궁금증은 물론 나머지 '숲과 나무들'도

손 안에 확 넣어 두시기 바랍니다. - 홍원식 박사 드림

 

거시적 수요와 공급(총공급, 총수요) 이론

(1) 총공급 = GDP (물가 증감에 따라 증감 ⇛ 공급 곡선은 우상향)

(2) 총수요 (물가가 상승하면 총수요는 감소 ⇛ 총수요 곡선은 우하향)

⓵ 구성 = 소비 수요(C, 민간 투자) + 투자수요(I, 민간 투자)

      + 정부수요(G, 정부 소 비 지출 + 정부투자 지출) + 순수출( X- M, 수출 - 수입)

⓶ 국내산 재화에 대한 수요의 총합 : 따라서 수입을 공제해야 함.

⓷ 해석:한 나라의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소비 또는 투자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 해 구매하려고

       하는 재화ㆍ서비스의 합

(3) 총공급과 총수요의 상관성

⓵ 총수요<총공급 : 재고의 증가 ⇨ 생산의 감소와 실업의 증가 ⇨물가의 하락 ⇨ 경기 침체

⓶ 총수요>총공급 : 재고의 감소 ⇨ 생산의 증가와 실업의 감소 ⇨물가의 상승 ⇨ 경기 활성화

     ※ 공급된 재화와 서비스가 소비와 투자의 목적으로 쓰임 ◀ 총수요 = 총공급 ⓷

(4) 총공급의 증가 및 감소와 국민 소득

⓵ 총공급의 증가(공급 곡선 우측 이동 ⇛ 물가 하락 ⇛ 국민 소득 증가)

⓶ 총공급의 감소(공급 곡선 좌측 이동 ⇛ 물가 상승 ⇛ 국민 소득 감소)

(5) 총수요의 증가 및 감소와 국민 소득

⓵ 총수요의 증가(수요 곡선 우측 이동 ⇛ 물가 상승 ⇛ 국민 소득 증가)

⓶ 총수요의 감소(수요 곡선 좌측 이동 ⇛ 물가 하락 ⇛ 국민 소득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