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공사전체에서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

당해 계약의 총계약원가가 총계약수익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당해 초과액은 즉시 비용으로 인식한다. , 공사를 진행하는 도중에 총계약원가가 총계약수익을 초과하여 공사전체에서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 한다.

손실이 예상한 회계연도말

미래의 추가손실예상액을 미성공사에서 차감하여 당기비용(공사원가)로 처리한다.

() 공 사 원 가* ××× () 미 성 공 사 ×××

* 차기이후의 예상되는 추가공사손실

공사전체의 예상손실당기까지 인식한 공사손실

총공사예상손실×(1누적진행률)

 

차기이후에 실제손실이 발생한 회계연도말

미성공사를 증가시키면서 당기비용(공사원가)에서 차감한다.

() 미 성 공 사 ××× () 공 사 원 가 ×××

 

한솔건설20×171일에 공사금액이 60,000인 교량건설공사를 수주하였다. 계약당시 이 공사는 20×3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며 공사원가는 50,000으로 추정되었다. 공사원가는 20×1년도에 14,000 발생하였다. 그런데 20×2년도에 건축자재의 가격이 상승하여 공사원가가 35,000 발생하였으며 20×3년도에 21,000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정보는 아래와 같다.

 

20×1

20×2

20×3

당기공사원가

총공사예정원가

공사대금청구

공사대금회수

14,000

50,000

14,000

10,000

35,000

70,000

21,000

20,000

21,000

70,000

25,000

30,000

진행기준에 의거 매년도에 행할 회계처리를 하라.

연도별 공사수익과 공사원가 산출

 

 

20×1

 

 

20×2

 

 

20×3

누적공사원가

 

14,000

 

 

49,000

 

 

70,000

총공사예정원가

 

50,000

 

 

70,000

 

 

70,000

진행률

 

28%

 

 

70%

 

 

100%

공사수익

 

16,800*1

 

 

25,200*2

 

 

18,000*3

공사원가

 

 

 

 

 

 

 

 

실제원가발생액

 

14,000

 

 

35,000

 

 

21,000

공사원가가산액

 

 

 

 

 

3,000*4

 

 

 

 

 

 

공사원가차감액

 

 

14,000

 

 

 

38,000

 

 

(3,000)

 

18,000

공사매출총이익

 

 

 

2,800

 

 

 

 

(12,800)

 

 

 

 

0

 

 

 

 

 

 

 

 

 

 

 

 

 

 

 

*1 60,000×28%16,800

*2 60,000×70%-₩16,80025,200

*3 60,000×100%-₩42,00018,000

*4 추가손실예상액의 계산
20×3년에 인식할 공사수익: ₩60,00042,000 18,000

20×3년에 발생할 공사원가: = (21,000)
차기이후의 추가공사손실 (3,000)

 

분 개

구 분

계정과목

20×1

20×2

20×3

공사원가의 발생

미성공사

현 금

14,000

14,000

35,000

35,000

21,000

21,000

공사대금청구

공사미수금

진행청구액

14,000

14,000

21,000

21,000

25,000

25,000

공사대금회수

현 금

공사미수금

10,000

10,000

20,000

20,000

30,000

30,000

회계기말
공사수익과
공사원가의 인식

공사원가

미성공사

14,000

2,800

16,800

35,000

25,200

9,800

21,000

18,000

3,000

회계기말
예상손실 회계처리

공사원가

미성공사

3,000

3,000

3,000

3,000

공사완료

진행청구액

60,000

60,000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계산할 수 있다.

추가손실예상액(총도급금액총공사예정원가)×(1진행률)
(60,00070,000)×(10.7)
()3,000

추가손실예상액공사전체의 예상손실당기까지 인식한 공사손실
(10,000)(7,000)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