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공사전체에서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
당해 계약의 총계약원가가 총계약수익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당해 초과액은 즉시 비용으로 인식한다. 즉, 공사를 진행하는 도중에 총계약원가가 총계약수익을 초과하여 공사전체에서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 한다.
① 손실이 예상한 회계연도말
미래의 추가손실예상액을 미성공사에서 차감하여 당기비용(공사원가)로 처리한다.
(차) 공 사 원 가* ××× (대) 미 성 공 사 ×××
* 차기이후의 예상되는 추가공사손실
=공사전체의 예상손실-당기까지 인식한 공사손실
=총공사예상손실×(1-누적진행률)
② 차기이후에 실제손실이 발생한 회계연도말
미성공사를 증가시키면서 당기비용(공사원가)에서 차감한다.
(차) 미 성 공 사 ××× (대) 공 사 원 가 ×××
한솔건설㈜는 20×1년 7월 1일에 공사금액이 ₩60,000인 교량건설공사를 수주하였다. 계약당시 이 공사는 20×3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며 공사원가는 ₩50,000으로 추정되었다. 공사원가는 20×1년도에 ₩14,000 발생하였다. 그런데 20×2년도에 건축자재의 가격이 상승하여 공사원가가 ₩35,000 발생하였으며 20×3년도에 ₩21,000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정보는 아래와 같다.
|
20×1년 |
20×2년 |
20×3년 |
당기공사원가 총공사예정원가 공사대금청구 공사대금회수 |
₩14,000 50,000 14,000 10,000 |
₩35,000 70,000 21,000 20,000 |
₩21,000 70,000 25,000 30,000 |
진행기준에 의거 매년도에 행할 회계처리를 하라.
|
|
20×1년 |
|
|
20×2년 |
|
|
20×3년 | ||||||
누적공사원가 |
|
₩14,000 |
|
|
₩49,000 |
|
|
₩70,000 | ||||||
총공사예정원가 |
|
50,000 |
|
|
70,000 |
|
|
70,000 | ||||||
진행률 |
|
28% |
|
|
70% |
|
|
100% | ||||||
공사수익 |
|
16,800*1 |
|
|
25,200*2 |
|
|
18,000*3 | ||||||
공사원가 |
|
|
|
|
|
|
|
| ||||||
실제원가발생액 |
|
14,000 |
|
|
35,000 |
|
|
21,000 | ||||||
공사원가가산액 |
|
- |
|
|
|
|
3,000*4 |
|
|
|
|
- |
|
|
공사원가차감액 |
|
- |
|
14,000 |
|
|
- |
|
38,000 |
|
|
(3,000) |
|
18,000 |
공사매출총이익 |
|
|
|
2,800 |
|
|
|
|
(12,800) |
|
|
|
|
0 |
|
|
|
|
|
|
|
|
|
|
|
|
|
|
|
*1 ₩60,000×28%=₩16,800
*2 ₩60,000×70%-₩16,800=₩25,200
*3 ₩60,000×100%-₩42,000=₩18,000
*4 추가손실예상액의 계산
20×3년에 인식할 공사수익: ₩60,000-42,000 = ₩18,000
차기이후의 추가공사손실 ₩ (3,000)
구 분 |
계정과목 |
20×1년 |
20×2년 |
20×3년 |
① 공사원가의 발생 |
미성공사 현 금 |
14,000 14,000 |
35,000 35,000 |
21,000 21,000 |
② 공사대금청구 |
공사미수금 진행청구액 |
14,000 14,000 |
21,000 21,000 |
25,000 25,000 |
③ 공사대금회수 |
현 금 공사미수금 |
10,000 10,000 |
20,000 20,000 |
30,000 30,000 |
④ 회계기말: |
공사원가 미성공사 공사수익 미성공사 |
14,000 2,800 16,800 - |
35,000 - 25,200 9,800 |
21,000 - 18,000 3,000 |
⑤ 회계기말: |
공사원가 미성공사 미성공사 공사원가 |
- - - - |
3,000 3,000 - - |
- - 3,000 3,000 |
⑥ 공사완료 |
진행청구액 미성공사 |
- - |
- - |
60,000 60,000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계산할 수 있다.
① 추가손실예상액=(총도급금액-총공사예정원가)×(1-진행률)
=(₩60,000-70,000)×(1-0.7)
=(-)₩3,000
② 추가손실예상액=공사전체의 예상손실-당기까지 인식한 공사손실
=(₩10,000)-(7,000)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