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비례대표제는 대선거구(소수대표제) 보다는 소선거구(다수대표제)의 폐단(단점) 보완을  위해 더 유용합니다.

그런데 소선거구제 하에서는 군소정당 보다는 대형 정당 2-3개가 국민적 지명도를 가지고 있다보니 더 유리하게 됩니다.

참고로 선거구제 및 대표제와 관련한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래의 도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아래의 도표는 현재 사회책들에 없는 것으로 지적 재산권의 저 홍원식 소유 임을 전제로 합니다)

 

구 분

소선거구(다수대표)제도

중․대선거구(소수대표) 제도

장 점

★ 선거구가 작아 최대다수표를 얻은자만 대표!

영국(보수, 노동당)제도를 미국(공화, 민주당)에서 모방하여 수 백년 동안 성공적으로 활용 중!

1선거구에서 1인만 선출 한다(1등만 당선)

다수당(1,2당)에 유리하여 양당제를 촉진한다

양당제가 형성이 되어 정국이 안정 된다

후보난립이 없어 선거(관리)비용이 적게 든다

양대정당간 경쟁이어서 선거 관리가 용이하다

연고자 출마로 후보자의 인물 파악이 용이하다

1명 뿐인 대표여서 지역 대표성을 갖는다

1명 뿐인 대표여서 소속감(충성도)이 강하다

1명 뿐인 대표여서 유권자와 유대가 강하다

유권자의 선거에 대한 관심과 투표율이 높다

책임정치(정치행위, 정책에 대한 평가)에 용이하다

★ 선거구가 커서 소수표를 얻어도 대표!

정치적 후진국들 중에서 채택하였다가 오만 잡다한 정당들이 정당 행세를 하는 기회를 갖음!

소선거구(다수대표제)의

단점이 개선(해소)되는

②③④⑤⑥⑦⑧⑨⑩⑪⑫ 항목!

단 점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 폭이 좁다

② 전국적 인물보다 지방적 인물이 당선된다.

정치적 소수의사(군소정당 무소속) 반영 곤란

양단간의 담합으로 게리맨더링(선거구조작)가능

참신하고 유능한 신진인물들의 정치권 진입곤란

정치적 의사나 인물 선택 선택의 범위가 좁다

전국적인물이나 전문인력의 진입 기회가 좁다

1등 외의 후표에게 던진 표는 모두 사표가 된다

지역(연고)주의에 빠져 국익 손실 우려가 있다

선거부정(관권 및 금권) 선거 가능성이 크다

선거 운동이 지나치게 과열될 수 있다

⑫ BIAS(의석수와 득표율간 불일치)현상 발생 우려

* 투표가치의 차등(평등선거원칙 위반)문제 발생

********************************************

대안(개선방안)

① 비례대표제 도입(1인 2표제)

② 직능대표제를 통한 보완

소선거구(다수대표제)의

장점을 살릴 수 없는

②③④⑤⑥⑦⑧⑨⑩⑪⑫ 항목!

하루 만에도 끝 낼 수 있는 사회 혁명!!

홍원식 박사의 에스프레소 사회!

(www. yes-wecan.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