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그 문제는 답이 잘못 나왔습니다.
학습자료실에 올려놓은 정오표를 참고해 주세요.
그것 말고도 고쳐야 할 것이 좀 더 있습니다.
그리고 '도이장가'는 '향가계 여요'이면 '향가'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즉 '향가의 특성'과 '속요의 특성'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순수한 향가라고 할 수가 업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향가를 '보현십원가'로 보는 것입니다.
자, 그럼 열심히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