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이론강의 듣다가 포기하고 쌩기초로 내려와서 차근차근 듣고있는 학생이에요~~

아직1회독도 안한 상태라 구멍이 되게 많은데 그래도 네이버 지식인에서 많이 메웠네요...

근데 지식인에도 안써있는 내용들 질문해요ㅜㅜ

참고로 지금 쌩기초 27강 듣고 있습니당

 

제일먼저!!

1. 수익비용대응의 원칙이라는게 정확히 뭔가요ㅜ.ㅜ?? 어떤 것을 설명하기 위한 원칙인지 궁금해요

 

2. 제 6장 수취채권에서 대손회계에 대한 내용에서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는 이유는 뭔가요?

단지 주주들에게 우리회사의 자산상태??를 알려주기 위해서 우리회사는 이만큼 대손이 날지도 몰라 이런걸 알려주기 위함인가요? 그리고 채권을 직접 줄이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그냥 직접 줄였다가 회복이 되면 다시 더하면 되는거 아닌가요?ㅜㅜ

 

3. 제 8장 유형자산에서요. 감가상각비와 감가상각누계액이라는 계정을 사용하잖아요. 여기서도 감가상각 누계액이라는 계정이 왜 필요한건가요? 지식인에서 자산차감계정이라는 걸 본 것 같은데 단지 차변과 대변에 똑같이 기록하기 위해서 감가상각비용에 대응하며 자산을 줄여주기 위한것인 것 뿐인가요? 그리고 여기서 바로 유형자산을 대변에 기록하여 차감하지 않는이유는건물의 취득원가를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하셨던 걸로 기억이 나는데 그러면 결국 감가상각누계액이라는 건 기계장치라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자산을 감소시키기 위한 계정인거죠?

 

질문이 많아요ㅜ.ㅜ..뭔가 지금 나무에 대한 이해는 어느정도 된 것 같은데 숲의 이해가 되지 않는 것 같아요ㅜ.ㅜ..

얼른 쌩기초 듣고 다시 이론강의 들으면서 채워나가고 싶어요ㅜㅜㅜ흙흙 그래도 쌩기초들으면서 회계에 대한 재미가 붙어서 좋네요 헤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