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질문하신 내용을 보니 강의를 듣지 않고 독학하는 분 같군요.
독학으로는 합격하시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반드시 강의를 들으시길 권합니다.
만약 강의를 들으셨다면 문법 부분만 2~3번 정도 반복하시면서 공부하시길 권합니다.
그러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안+되다'는 띄어쓰기에 따라 뜻이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쓰임에 따라 띄어 쓰기가 달라집니다.
즉 본뜻으로 쓰이면 '부정부사+본용언'이므로 띄어쓰고, 본뜻에서 멀어진 경우는 붙여 씁니다.
네이버 사전에 그 쓰임이 자세히 나오므로 참고하세요.
문법적 원칙에 따른 경우 통사적 합성어, 따르지 않은 경우 비통사적 합성어 입니다.
부슬비 : 부슬부슬+비, 부사어가 체언을 꾸밀 수 없으므로 비통사
늦잠 : 늦(다)+잠, 어간과 체언 사이에 관형사형 어미가 없으므로 비통사
강의를 듣지 않은 경우 거의 총 10시강에 걸쳐 설명되어야 할 이러한 내용이 이해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것 : 관형사+명사
맛+있다 : 명사+형용사
한+글 : 관형사+명사
따라서 모두 합성어입니다.
안은문장은 절이 들어 있는 문장
이어진 문장은 연결어미나 접속조사가 문장과 문장을 잇고 있는 문장입니다.
다시한번 꼭 가의를 들으시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그것이 지혜로운 국어 공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