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와 달이 고유명사가 되지 못하는 이유와

'왜 붉고 아름다운 것을 '꽃'이라 할까?의문과 관련있는 언어의 특성은?

이라는 문제에서

답이 '언어의 자의성'이라고 되어있었습니다.

왜 이 예시들이 자의성을 설명하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붉고 아름다운 것을 '꽃'이라 하는 것은 언어의 사회성이 아닐까요?

 

 

2. 음상의 발달

원래는 어원이 같은 말이었으나 자음이나 모음을 바꿈으로 의미가 분화되는 경우

예) 살[年齡] -  설[元旦]

     머리 - 마리

어원이 같은 말인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3. 관형사와 형용사는 어떻게 다른가요?

 

4. 문장성분 간의 호응

<한국인에게 있어서 대장암은 위암이나 폐암 등과 같이 발병율이 높은 암이다.>

해답에 맞는 문장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있어서'라는 문장성분이 없어도 될 것 같은데 꼭 있어야 맞는 문장일까요?

'있어서'라는 문장성분이 없으면 틀린문장이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