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물화 검사는 스스로 사람을 그리게 하면서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2. 기능론이나 갈등론에서의 교육내용은 소수의 엘리트계급에 의해 선정됩니다. 기능론이나 갈등론에서 유기체는 수동적인 존재로 지배계급에 의해 선정된 교육내용에 의해 세뇌되어 집니다. 다시 말해서 암흑상자란 소수의 엘리트계급에 의해 선정된 교육과정으로 하여금 모든 학생들을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교육사회학이론에서는 기능론이나 갈등론에서의 교육과정을 암흑상자에 비유합니다. 3. 기능주의는 사회보다는 개개인의 능력을 중시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기회를 주어 그에 따른 차등은 인정하자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갈등론에서는 사회구조를 중시한다면 기능론에서는 개개인의 능력을 중시합니다. 4. 문화적 헤게모니이론은 지배계급에 의해 형성된 문화에 의한 지배이며, 문화재생산이론은 하나의 문화가 다음 세대로 재생산된다는 의미입니다. 5. 관련이 없습니다. 6. 신교육사회학이론은 상호작용을 중시합니다. 7. 구교육사회학이론은 기능론과 갈등론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