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론과 신교육사회학은 기능론을 비판하면서 등장하는 것으로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학교교육과정의 내용은 지배계급의 문화로 구성된다는 것은 유사한 점입니다. 그리고 신교육사회학의 일반적인 키워드를 명확하게 알아두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미시적, 질적, 현상학이나 해석학을 토대로 한 상대적이며 주관적인 지식, 교육과정 사회학, 지식사회학, 민속방법론, 상호작용이론 등과 같은 용어들을 연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