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선 이번에 경기도 교육청 교육학문제가 어땠는지 궁굼합니다.
생각보다 엄청 낮은 교육학 점수가 나왔는데요...원인은 저의 학습량 부족이기도 하겠지만 유난히 교육학 점수가 다들 생각보다 훨신 낮다고들 하네요...
그리고 경기교행대비 문풀시간에 풀었던 8회 7번 문제입니다.
문제) 다음에서 제시한 교육철학관을 가지 교사가 취할 태도가 아닌것은?
답) 3
보기)
-물리적 세계안에서 사물에 해한 지각이나 경험을 통해 무엇이 궁극적 실체인지를 탐구하는 철학적사유의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사물은 물질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우리의 정신속에 존재하는 관념과 개념은 사물세계로부터 얻는 감각자료에 의존하게 된다고 본다.
1. 어떤 선정된 가치를 가르친다.
2. 교사는 권위와 주도권을 가진다.
3. 가치는 내적인 주관적 기준에 의해 평가된다.
4.지식을 탐구할수 있는 기능과 방법을 가르친다.
이문제는 웅진패스원 모의고사 문제집에도 있어서 해설을 참고했는데요..
보기에서 무엇을 보고 아리스토 텔레스와 연관시켜 생각하고 문제를 풀어야하는지 이해가 안가요...
실증주의적 경험론을 설명하시면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연관시켜 해설해주셨는데요...이해가 안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