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사적 성격검사 중 인물화 검사는 무엇인가요? p.1112문제에 나와있는데 교재에는 따로 설명이 없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2. 교육사회학에서 기능론과 갈등론은 학교교육과정을 암흑상자라고 하였는데, 암흑상자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3.p.1149 아래 에듀넷의 기능이론의 사회관에서 기능이론은 개인주의라고 되어 있는데요. 뒤르켐의 경우 개인보다 사회전체의 통합 또는 연대를 중시했다고 되어있는데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4. 문화적헤게모니와 문화재생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5. 신교육사회학이론은 교육적사회학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인가요?
     (교육현상을 사회학적 괌점에서 교육학점 관점으로 이동시켰다고 써있어서 질문드립니다.)

6. p.1161 신교육사회학이론의 학문방법론 중 상호작용론은 교사와 학생의 차별적인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라고 되어 있는데요. 차별적 상호작용의 뜻이 무엇인가요?

7. 신교육사회학과 대비되는 구교육사회학은  교육적사회학+교육의사회학(기능론+갈등론) 인가요?


복습 중에 궁금한 점이 많아 한번에 질문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