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원별기출문제집
p.48에 73번에서 조선과거제도에 대한 문제인데요~
해설에는 문과에서 강경보다 제술업이 더 중시되었다고 나오네요~
책에서는 강경과가 더 중시되었다고 나오니까 책이 맞는거죠~?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하는것으로 내적강화보다 외적강화를 중시한다.라는 문장에서 내적강화와 외적강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용어설명 부탁드립니다~

3. 단원별기출 p.339 60번
다음 보기에 있는 재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상담할 때, 상담자의 면담기법과 내용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보기 <생략>
반영: 꿈이었겠지만 총을 잘못 쏘아서 아버지를 돌아가시게 한 죄책감 같은 것을 느꼈겠군요.
이게 답이 아닌데요~답이 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4.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는 사례애 해당되는 것은 보기에서 고르면?
성격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성격심리학을 전공한 전문가 집단에게 성격검사문항에 대한 내용분석을 의뢰하였다.->이게 구인타당도와 관련된다고 해설에 나와있는데요~
책에 보면 전문가집단에 의뢰하는 내용은 내용타당도밖에 없어서 잘 구분이 안갑니다~

마지막으로 책에 부적 편포곡선은
우수집단
시험수준이 낮다
에두까레에는 하부집단 학생들의 성적 변별에 도움이 되는 곡선은 부적 편포곡선이다~

이렇게 되어있어서 우수집단과 상충되는 걸로 보이는 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그리고 부적 편포곡선은 평균치-중앙치가 0보다 작아서 그렇게 불리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