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 교육사무관 승진 문제인데요..
보기 중 학습인 것을 고르라는 문제입니다.
다른 것들은 틀리다는 것을 알겠는데,
2) B는 인도를 다녀온 후 인도에 대해 새로운 것을 알게 되었다.
4) D는 어릴 때 외운 구구단을 지금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다. 
4번이 답인데요...학습은 경험을 통해서 얻은 것도 학습이라고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B는 경험을 토대로 학습을 한 것이니까 2번이 답이 될 것 같은데..왜 4번인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비고츠키의 주요개념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려운 것을 고르는 것인데,
1) 언어발달  2) 협동학습  3) 역동적 사정  4) 조력학습   5) 내적 발화
중에서 답이 내적 발화인데요..내적 발화는 내적 언어랑 같은말 아닌가요?
비고츠키는 언어를 강조했으며 내적 언어도 중요하다고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아! 그리고.....
사실 시행착오설의 예시인 고양이 상자 실험과 작동적 조건화설의 예시인 비둘기 상자 실험에서
어떤 점이 다르길래 하나는 작동적 조건화설이고 다른 하나는 시행착오설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모르겠어요..둘 다 우연히 발견하게 되어서 반응을 얻은 것처럼 느껴져서요~^^
어떻게 다른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