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작년 책을 가지고 강의를 들었고(작년, 올해) 공부하고 있는데요. 몇 가지 의문점이 생겨 질문합니다.^^

1. (작년 책 기준으로)288쪽에는 중세시대 교육의 특징으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가 나와있고 308쪽에는 '인간의 이성 경시'라고 나와있는데 전자는 후기교육의 특징이고 후자는 전기교육의 특징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문제에서 통틀어 '중세시대'라고만 한다면 상충되는 저 두가지 중에 어떤 것에 비중을 두어야 할까요?

2. 266쪽 문제 101번에서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세워진 초기 선교계 학교에 대한 설명 중 '민족적 주체성을 강조하였다'는 설명은 틀린 것으로 나와있는데요. 264쪽을 보면 선교사에 의한 근대학교의 건학정신에 '민족지도자 양성교육'라고 나와있는데, 민족지도자를 양성하고자 하는 것과 민족적 주체성을 강조하는 것을 구분하여 전자는 맞고 후자는 틀리다고 해야하는 건가요?

3. 마지막으로 골렘효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골렘효과는 교사의 관심이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켜 학생이 부담감을 느끼고 잘 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교사의 관심을 받지 못한 학생이 학습을 잘 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공부를 하다보니 헷갈리는 게 많아 질문 드려요ㅜㅜ 글이 많이 올라와서 바쁘시겠지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