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겸교수님께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막 충북교행직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최근에 공무원교육학(개론) 단원별 기출문제해설집을 풀어봤는데요,

궁금한 것이 생겨서 이렇게 용기를 내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p57. 74번

해설에는 소학교는 공립학교로 국고의 지원을 받아 운영된다고 되어있는데

답은 ②해당 지역 군수가 교장을 겸직.


p168. 158번

답이 ①번으로 되어있으나 기본서(교육학개론) p529에는 ⑤번으로 되어있음.


p229. 05번

③번 지문이 바뀐 것 같음.


p380. 31번

기본서 p1190 ‘근대 공교육제도의 형성 및 팽창을 형성하는 이론의 유형’의 이론 모형에는 기능이론, 갈등이론, 문화제국주의이론, 문화전파주의이론이 명시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왜 답이 ③갈등이론 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p405. 112번

②발전교육론→②문화재생산이론(기본서 p1115 13번과 비교).


p449. 138번

교육위원이 30~40%(기본서 p1318)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에서는 왜 20~30%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양교육사’ 단원이 재미난 교수님 수업에서도 어렵더니

공부할 때도 가장 힘들었고 마지막으로 문제풀이로 정리를 해봐도 영 개운치 않습니다.

특히 그리스 부분이 가장 그렇습니다.

왕도가 없는 것은 알지만 좋은 방향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건강 하시구요,

웃을 일 가득한 나날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