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의 현상적 정의에서요 !
규범적
조작적
기능적
으로 구분되잖아요 그런데 각각에 해당하는 학자들이 딱 한가지 정의만 한게 아니라 규범적 정의도 하고 조작적 정의도 하고 막 그런가요?
예를 들어서 듀이는 "교육은 생활 그 자체이다" -규범적 정의
                                   "교육은 경험을 개조하는 것이다" - 조작적 정의 에 해당하는 것 처럼요 ㅠ

그런데 피터스는 전수에 중점을 뒀다면 조작적 정의인데 왜 성년식이 규범적에 해당하나요? 성년식도 아동들에게 문명화된 삶을 전수하는 것 아닌가요?ㅠㅠ 헷갈려요 ㅠ 


2.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다 "  이거 누가 애기한건 가요 ?
루소에 [에밀]에 나왔다고 한던데 전 듀이로 알고 있거든요 ㅠ

3. 사립 초중고에도 병설유치원이 가능하잖아요 .근데 아는 사람에게 물어보니까 
국 공립 초중고에 있는 유치원을 병설유치원이라 하고, 사립 초중고에 있는 유치원은 그냥 사립 유치원 이라고 한다던데 맞는 건가요?

4. 자율학교는 교사는 교원자격증이 있어야 하지만 교장 교감의 경우만 장관이 수여하는 자격증이 없어도 된다는 거죠?  그에 반해  자립령 사립고는 교사도 교감 교장도 다 자격증이 없어도 되는 거죠?
헷갈려서요 ㅠ 

두서없이 너무 많이 물어봐서 죄송합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