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교육학 개론(상) 공부 중인데요...
문제 풀다 조금 이상한 부분이 있어서요...617 페이지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에 관한 문제에서요...
제가 생각할때는 정답은 3으로 되어 있지만
1,2번 모두 틀린거 같아요.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가요??
그리고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과 스키너의 작동적 조건형성이론이
구별이 잘 안됩니다.ㅠ.ㅠ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은 고전적 행동주의이고, 스키너의 작동적 조건형성이론은
신행동주의라고 하셨는데
신행동주의는 유기체의 자발적 행동을 중시하고 이에 따른 보상에 의해 조건형성이
이뤄지는 거라고 하셨습니다..
근데 제 생각에는 손다이크의 고양이나 쥐 실험도 고양이가 발판을 누르거나 쥐가 미로를 찾아가는
행동이 먼저 일어났고, 그에 따른 보상에 의해 조건형성이 이뤄졌으니까
신행동주의랑 다를바가 없는거 같은데
왜 손다이크는 고전적 행동주의이고, 스키너는 신행동주의 인가요??
비슷비슷한 개념이라 많이 헷깔립니다..
또한 교재 775페이지의 82번 문제도 정답에 약간 의문점이 생깁니다.
저는 1번이라고 생각했거든요.. 1번은 왜 정답이 안되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릴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