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충북교행대비 문제집 744페이지에요.
73번 문제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에 관한 기출문제를 보면요.
(문제 :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으로만 묶은 것은?)
ㄱ,ㄴ,ㄷ 가 맞는 것은 알겠으나 아래 설명에
ㄹ번 ' 욕구계층이론은 모든 사람과 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된다.'
는 것이 틀리다고 되어 있거든요?
해설에는 매슬로우는 욕구의 순서가 사람에 따라 다르며, 문화권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다는데요. 매슬로우는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았잖아요~? 그럼 위 해설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즉,ㄹ번도 맞는 것이어서 답이 4번이 아닌가 해서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2. 같은 교재 769페이지 136번문제요..
문제가 학교발전기금의 사용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이건대요..
답은 1번 : 학교건물의 신축 및 보수
이거라고 되어있고, 설명은 학교발전기금은 교원의 복지에는 쓰일 수 없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이론에 학교발전기금은 학교교육시설의 보수 및 확충 에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있어요..
위 1번보기는 교육시설의 보수.확충이 아닌가요? 그러니까 학교발전기금을 이에 사용할 수 있는 것같은데.. 왜 교원복지인 건지 이해가 안가요...
만약 제 생각이 맞다면 136번 문제는 답이 없는건데.. 확인해 보시고 답변해주세요~^^;
3. 같은교재 9회 모의고사 3번이요~
이황의 인간관이 주는 시사점이 아닌 걸 고르라고 했는데요..
답은 3번 : 인간의 타고난 자연의 본성에 기초하여 단계에 따른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거라고 하셨거든요~?
근데 2번: 교육의 목적은 선량한 마음을 가지고 천부의 본성을 기르는 데 두어야 한다.
이 보기는 이황의 견해와 왜 맞는 건지 이해가 안가요.. 문제의 주어진 지문을 보면 사람은 천부로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고 했는데, 2번보기는 천부의 본성을 기르는 데 두어야 한다고 했잖아요~?
그리고 3번 보기는 그래도 교육을 강조했으니까 맞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4. 605페이지 정상분포곡선에서의 백분위점수와 표준점수 표에서요..
c점수 밑에 4 7 ... 7 4 이렇게 적혀있잖아요~
다른 것들은 간격이 일정한데 이건 아니더라구요~
어떻게해서 이런 값이 나오는 건지 알려주세요~ 이것도 스테나인 점수인 거죠?
5. 626페이지 착오에 관한 설명중에서요..
근면성이 높은 사람을 준법성이 높은 사람으로 평정한 경우는 근접의 착오라고 했구요.
전혀 다른 두 가지 행동을 비슷한 것으로 생각해서 평정하는 현상은 논리적 착오라고 되어있거든요~
근데 근접의 착오에 관한 설명도 보면 전혀 다른 두 가지 행동인 것 같은데..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 거예요~?
630 페이지 21번 문제
( 김 교사는 윤리점수가 높은 학생을 도덕성이 높은 사람으로 평정하였다 -> 답 : 논리적 착오 )
이걸 풀다보니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지 너무 헷갈리고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시험전에 복습하면서 질문을 한꺼번에 올리다보니 많아졌네요..^^:;
교육학을 처음 공부해보는 데다가 기본서를 따로 볼 시간이 없어서 충북교행직 대비 강의만 듣다보니 딱히 찾아볼 기본서도 없고해서 질문 올립니다. 너무 많이 올려서 죄송해요..^^;; 항상 성의껏 답변해 주시는 거 감사드리구요.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