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310페이지의 150번 문제요.
답이 상찬이라고 나와있는데, 앞에 이론에는 학습우수아는 질책이 더 효과적이라고..
답이 질책이닌가요~?
2. 336페이지의 205번과 337페이지의 208번이요.
205번에서는 학생들이 필기에 집중해서 설명을 듣지 못하는 건은 감각등록기와 관계가 깊다고 했고,
207번에서는 학생들이 책을 읽을 때 글자해독에 집중할 경우 내용의 의미를 잘 파악하지 못 하는 것을단기기억의 제한된 용량 때문이라고 했는데요.
둘 다 다른 것에 집중하느라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상황이잖아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건지 알려주세요~ 차이를 모르겠어요~
특히 207번은 해독에 집중해서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 왜 단기기억의 용량 때문인 건지 이해가 안가구요..
3. 472페이지 15번이요.
답이 1번으로 되어있는데요. 1번이 u에 해당하니까 당연히 답인 것을 이해가 가는데요..
5번 보기가 학습목표를 알려줌으로써 수업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는 것인데, 그럼 5번은 s(state) 에 해당하지 않나요~? 따라서 답은 1번과 5번 두개가 되는 건 아닌지... 알려주세요~^^